DNS - 구글로 변경 하는 방법
분류없음 2014.04.26 13:33
컴퓨터마다 DNS 주소가 설정되어 있어서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LG파워콤, KT, SK브로드벤드, 를 사용하시는 분들,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특정사이트에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있지요.
원인은 알고보니 국내 인터넷 업체에서 접속이 되지 않도록 막아놓은 것입니다.
업체에 문의하면 막지 않았다고 합니다 거짖말에 도가튼 국내 인터넷업체 정말 한심할 뿐입니다.
해결 방법은 구글DNS나 오픈 DNS를 이용하는 방법이있습니다.
공유기에서 설정된 DNS를 가져올 수 있고 직접 내컴퓨터에서 수동으로 설정을 할수도 있습니다
구글에서 마찬가지로 ①기본 설정 DNS 서버(P) ②보조 DNS 서버(A) 2개가 있습니다.
구글 DNS는 ①기본 설정 DNS 서버(P) :: 8.8.8.8 ②보조 DNS 서버(A) :: 8.8.4.4 입니다.
먼저 DNS가 무엇인지 처음 접하신분들은 이해하기 쉽게 살펴보고 갑니다
DNS란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의 약자입니다.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지요.
특정 컴퓨터(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IP 주소)로 변환해줍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흔히 "전화번호부"에 비유될 수 있다.
인터넷 도메인 주소 체계로서 TCP/IP의 응용에서, www.example.com과 같은 주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192.168.1.0과 같은 IP 주소로 변환하고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입니다.
윈도우7 설정 방법
물론 아무거나 넣어도 상관은 없으나 자기 ISP 업체것을 넣는게 속도면에서 유리하다.
SK 브로드 밴드(두루넷) ::: 210.220.163.82
LG 파워콤 ::: 164.124.101.2
다음 화면은